올해 가정용 정수기 수출액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5월 가정용 정수기 수출액은 1억9천5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3% 늘었다.
코로나로 안전한 물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우수한 품질과 현지화로 해외시장을 개척한 우리 기업의 노력이 더해진 결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연간 역대 최대 수출기록 4억 2900만달러에 이어 올해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다시 한번 최대실적 경신을 기대하고 있다.
국가별 수출 비중을 보면 말레이시아가 37.6%로 가장 많았고 미국(19.3%), 일본(14.1%)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수출한 121개국 중 29개국 수출액이 역대 최대 기록했으며, 올해도 5월까지 수출한 103개국 중 23개국이 같은기간 최대실적을 보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급수 사정이 좋지 않은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이 늘고 있다는 것이 관세청의 분석이다. 2014년 36.7%에 그쳤던 동남아시아 정수기 수출 비중은 지난해 45.4%로 상승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코로나 기간 건강에 관심이 증가한 가운데 지리적, 사회적 요인(노후된 수도설비)으로 인한 정수기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우수한 품질을 토대로 수출국별 상황에 맞춘 제품·서비스의 현지화 등 우리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노력과 더불어 케이(K)브랜드 인기 합세한 결과로 정수기 인기가 증가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5월 가정용 정수기 수출액은 1억9천5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3% 늘었다.
코로나로 안전한 물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우수한 품질과 현지화로 해외시장을 개척한 우리 기업의 노력이 더해진 결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연간 역대 최대 수출기록 4억 2900만달러에 이어 올해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다시 한번 최대실적 경신을 기대하고 있다.
|
국가별 수출 비중을 보면 말레이시아가 37.6%로 가장 많았고 미국(19.3%), 일본(14.1%)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수출한 121개국 중 29개국 수출액이 역대 최대 기록했으며, 올해도 5월까지 수출한 103개국 중 23개국이 같은기간 최대실적을 보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급수 사정이 좋지 않은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이 늘고 있다는 것이 관세청의 분석이다. 2014년 36.7%에 그쳤던 동남아시아 정수기 수출 비중은 지난해 45.4%로 상승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코로나 기간 건강에 관심이 증가한 가운데 지리적, 사회적 요인(노후된 수도설비)으로 인한 정수기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우수한 품질을 토대로 수출국별 상황에 맞춘 제품·서비스의 현지화 등 우리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노력과 더불어 케이(K)브랜드 인기 합세한 결과로 정수기 인기가 증가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