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지출 3%대 후반시 680조 전망
재량지출 증가율 0%대 묶일 수도
내년도 예산안의 총지출 증가율이 '3%대 이하'로 전망됐다. 이는 당초 중기재정계획에서 예정됐던 4.2%보다 낮은 수준이다.
14일 정부와 정치권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예정했던 4.2%보다 낮춰 3%대 이하 총지출 증가율로 내년도 예산안 편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내년 총지출 증가율이 3%대 후반으로 확정되면 총지출 규모는 올해 본예산 656조6천억원보다 24조∼26조원가량 늘어난 약 680조∼682조원 수준이 된다.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예정됐던 내년도 총지출 규모 684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최대 9조원가량 줄어드는 것이다.
총지출 증가율을 3%대 초반까지 떨어뜨리면 총지출 규모도 676조∼678조원가량으로 줄어 680조원을 밑돌게 된다. 올해와 비슷한 2%대 후반으로 결정되면 675조원대까지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3.9%로 가정해도 윤석열 정부 출범 3년간 총지출 증가율은 역대 정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앞서 올해 총지출 증가율을 역대 최저치인 2.8%로 묶었다. 확장재정으로 총지출이 7∼9%대로 늘었던 문재인 정부와 비교하면 증가율은 3분의 1가량 수준으로 줄였다.
총지출 눈높이를 낮춘 주된 이유는 ‘세입 여건’ 때문이다. 원래 내년도 국세수입은 올해(367조4천억원)보다 9.2% 증가한 401조3천억원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상반기 국세 수입은 168조6000억원으로 작년보다 10조원 줄었다. 부가가치세(5조6000억원)와 소득세(2000억원) 세수는 늘었지만, 기업 실적 악화로 줄어든 법인세(-16조1000억원) 감소 폭을 상쇄하지 못했다. 연간 계획 대비 징수 실적을 나타내는 총수입 진도율은 48.3%에 불과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수입과 지출이 균형을 이루고 적자를 최소화하는 건전재정 기조를 확립하겠다는 구상이다.
총지출 증가율이 3%대 이하로 낮아지면서 재량지출도 0%대로 묶일 것으로 전망된다. 고정적으로 지출이 발생하는 의무지출이 내년부터 해마다 20조원 이상씩 불어나는 구조에서 불가피한 조치다.
기재부는 “2025년 예산안은 현재 편성 중에 있으며 총지출 규모 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14일 정부와 정치권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예정했던 4.2%보다 낮춰 3%대 이하 총지출 증가율로 내년도 예산안 편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내년 총지출 증가율이 3%대 후반으로 확정되면 총지출 규모는 올해 본예산 656조6천억원보다 24조∼26조원가량 늘어난 약 680조∼682조원 수준이 된다.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예정됐던 내년도 총지출 규모 684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최대 9조원가량 줄어드는 것이다.
총지출 증가율을 3%대 초반까지 떨어뜨리면 총지출 규모도 676조∼678조원가량으로 줄어 680조원을 밑돌게 된다. 올해와 비슷한 2%대 후반으로 결정되면 675조원대까지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3.9%로 가정해도 윤석열 정부 출범 3년간 총지출 증가율은 역대 정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 될 전망이다.
|
정부는 앞서 올해 총지출 증가율을 역대 최저치인 2.8%로 묶었다. 확장재정으로 총지출이 7∼9%대로 늘었던 문재인 정부와 비교하면 증가율은 3분의 1가량 수준으로 줄였다.
총지출 눈높이를 낮춘 주된 이유는 ‘세입 여건’ 때문이다. 원래 내년도 국세수입은 올해(367조4천억원)보다 9.2% 증가한 401조3천억원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상반기 국세 수입은 168조6000억원으로 작년보다 10조원 줄었다. 부가가치세(5조6000억원)와 소득세(2000억원) 세수는 늘었지만, 기업 실적 악화로 줄어든 법인세(-16조1000억원) 감소 폭을 상쇄하지 못했다. 연간 계획 대비 징수 실적을 나타내는 총수입 진도율은 48.3%에 불과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수입과 지출이 균형을 이루고 적자를 최소화하는 건전재정 기조를 확립하겠다는 구상이다.
총지출 증가율이 3%대 이하로 낮아지면서 재량지출도 0%대로 묶일 것으로 전망된다. 고정적으로 지출이 발생하는 의무지출이 내년부터 해마다 20조원 이상씩 불어나는 구조에서 불가피한 조치다.
기재부는 “2025년 예산안은 현재 편성 중에 있으며 총지출 규모 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경제포커스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