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고정이하여신 비율 건설업 1.60%·제조업 0.32%
올해 내수 부진과 건설 업황 둔화 속에 주요 시중은행의 건설업 부실 대출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상반기 말 건설업 총여신은 28조6천790억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4천575억원(1.60%)에 달했다.
지난해 상반기 말 총여신 24조1천878억원 중 고정이하여신 1.17%(2천825억원)보다 0.43%포인트(p) 높아졌다.
은행들은 대출 채권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하는데,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 채권을 가리킨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은 건설업 대출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지난해 상반기 말 1.96%에서 올해 상반기 말 2.35%로 뛰어 5대 은행 중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KB국민은행은 1.58%에서 1.80%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1.61%로, 하나은행은 1.13%에서 1.26%로, 신한은행은 0.70%에서 0.99% 등으로 일제히 건설업 부실 대출 비율이 올랐다.
특히 건설업 대출 건전성을 타 업권과 비교해도 유달리 높은 실정이다.
올 상반기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전체 여신은 1천8조1천2억 원이다. 이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은 3조6천878억원으로 비율은 0.37%다.
또한 이들 은행의 제조업 대출은 285조2천391억원이며 이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은 9천212억원(0.32%)이며, 숙박·음식업 대출 41조583억원 가운데 1천767억원(0.43%)가 고정이하여신으로 집계됐다. 숙박·음식업 대출은 41조583억원 중 1천767억원(0.43%)이 각 고정이하여신으로 잡혔다.
아울러 부동산업 대출은 227조3천426억원 중 8천534억원(0.38%), 서비스업·기타 대출은 293조4천848억원 중 7천131억원(0.24%) 등이었다.
건설업을 제외한 각 업종의 부실대출 비율이 모두 0.5%를 밑돈 셈이다. 단순 계산하면 건설업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제조업의 5배에 달했다.
이처럼 건설업 부실 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은 건설업 내수 부진과 건설업황 둔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22년 이후 부동산 경기와 건설 업황이 부진해지면서 (PF 대출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9일 전국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상반기 말 건설업 총여신은 28조6천790억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4천575억원(1.60%)에 달했다.
지난해 상반기 말 총여신 24조1천878억원 중 고정이하여신 1.17%(2천825억원)보다 0.43%포인트(p) 높아졌다.
은행들은 대출 채권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하는데,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 채권을 가리킨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은 건설업 대출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지난해 상반기 말 1.96%에서 올해 상반기 말 2.35%로 뛰어 5대 은행 중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KB국민은행은 1.58%에서 1.80%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1.61%로, 하나은행은 1.13%에서 1.26%로, 신한은행은 0.70%에서 0.99% 등으로 일제히 건설업 부실 대출 비율이 올랐다.
|
특히 건설업 대출 건전성을 타 업권과 비교해도 유달리 높은 실정이다.
올 상반기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전체 여신은 1천8조1천2억 원이다. 이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은 3조6천878억원으로 비율은 0.37%다.
또한 이들 은행의 제조업 대출은 285조2천391억원이며 이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은 9천212억원(0.32%)이며, 숙박·음식업 대출 41조583억원 가운데 1천767억원(0.43%)가 고정이하여신으로 집계됐다. 숙박·음식업 대출은 41조583억원 중 1천767억원(0.43%)이 각 고정이하여신으로 잡혔다.
아울러 부동산업 대출은 227조3천426억원 중 8천534억원(0.38%), 서비스업·기타 대출은 293조4천848억원 중 7천131억원(0.24%) 등이었다.
건설업을 제외한 각 업종의 부실대출 비율이 모두 0.5%를 밑돈 셈이다. 단순 계산하면 건설업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제조업의 5배에 달했다.
이처럼 건설업 부실 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은 건설업 내수 부진과 건설업황 둔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22년 이후 부동산 경기와 건설 업황이 부진해지면서 (PF 대출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