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이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이 14일 발표한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2조4000억원으로 전년(21조2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5.5%) 증가했다.
금감원은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배상비용이 1조 4,000억 원에 달하면서 영업외손실이 확대됐지만, 대손비용이 3조1000억원 줄어든 것이 순이익 증가의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은행의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은 59조3000억원으로, 60조원에 근접했다. 이자수익자산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000억원(0.2%) 늘었다. 다만, 이자이익 증가율은 전년(5.8%) 대비 크게 둔화했으며, 순이자마진(NIM)도 2022년 4분기를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비이자이익은 6조원으로, 전년(5조8000억원)보다 2000억원(2.9%) 증가했다. 특히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 매매이익 등 유가증권 관련 수익이 개선된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비용 측면에서는 판매비·관리비가 27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000억 원(3.2%) 증가했다. 대손비용은 전년(10조원) 대비 3조1000억원(30.9%) 감소한 6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대손충당금 산정방식 개선에 따라 충당금을 대거 추가 적립했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은행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0%로 0.08%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신용리스크 확대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은행들이 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자금중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하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이 14일 발표한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2조4000억원으로 전년(21조2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5.5%) 증가했다.
금감원은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배상비용이 1조 4,000억 원에 달하면서 영업외손실이 확대됐지만, 대손비용이 3조1000억원 줄어든 것이 순이익 증가의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은행의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은 59조3000억원으로, 60조원에 근접했다. 이자수익자산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000억원(0.2%) 늘었다. 다만, 이자이익 증가율은 전년(5.8%) 대비 크게 둔화했으며, 순이자마진(NIM)도 2022년 4분기를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비이자이익은 6조원으로, 전년(5조8000억원)보다 2000억원(2.9%) 증가했다. 특히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 매매이익 등 유가증권 관련 수익이 개선된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비용 측면에서는 판매비·관리비가 27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000억 원(3.2%) 증가했다. 대손비용은 전년(10조원) 대비 3조1000억원(30.9%) 감소한 6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대손충당금 산정방식 개선에 따라 충당금을 대거 추가 적립했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은행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0%로 0.08%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신용리스크 확대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은행들이 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자금중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하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