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경상수지 흑자가 약 990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확대된 가운데, 미국에 대한 경상수지 흑자는 사상 처음으로 1100억달러를 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면 중국과 중동 지역에 대해서는 대규모 적자 기조가 지속되는 등 국가별로 흐름이 엇갈렸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4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990억4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328억2000만 달러 흑자) 대비 흑자폭이 크게 확대됐다.
국가별로 보면 대미 경상수지는 1182억3000만달러 흑자로, 전년(877억6000만달러)보다 300억달러 이상 늘어 4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1988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1000억달러를 넘어선 기록이다.
이러한 흑자 확대는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자동차 등의 수출 호조와 미국 소비시장 강세, IRA·칩스법 등 미국의 산업지원 정책 영향에 따른 자본재 수출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상품수지 흑자는 1089억9000만 달러로, 본원소득수지도 배당 및 이자수익 증가로 184억 달러 흑자를 기록, 모두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김성준 한은국제수지 팀장은 "미국의 견조한 소비에 자동차 등 소비재 수출이 늘었고, IRA·칩스법 등 신성장 투자에 기계류와 반도체 제조 장비 등 자본재도 많이 나갔다"며 "미국에 주식이나 채권 등 금융 투자에 따른 배당과 이자수익 등 본원수지도 추세적으로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향후 대미 경상수지의 경우 관세 정책 영향이 하반기에 더 크게 나타나 올해 흑자 규모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물론 통상 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굉장히 높아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대중 경상수지는 290억40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 지난 2022년 적자로 돌아선 뒤 연이어 흑자 반등에 실패했다. 적자 규모는 지난 2023년(-292억5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반도체 등 수출 증가와 화학공업제품 등 수입 감소로 상품수지 적자가 1년 새 331억3000만 달러에서 325억3000만 달러로 줄었다.
일본 경상수지는 127억2000만달러 적자로 전년(-157억7000만달러) 대비 적자 규모가 줄었다. 상품수지(-82억5000만달러)는 석유제품 수출 증가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반면 서비스수지는 적자폭을 키웠다. '엔저효과'로 해외여행 수요가 늘면서 여행수지 적자 폭이 커진 영향이다.
유럽연합(EU)향 경상수지는 170억9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58억5000만 달러 흑자)보다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선박과 컴퓨터 수출이 늘며 상품수지가 256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서비스수지와 본원소득수지는 각각 79억1000만 달러, 6억8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동남아시아에 대한 경상수지는 565억2000만 달러 흑자다. 반도체 수출 증가로 상품수지 흑자 폭이 확대됐다. 중동 지역은 690억 2000만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원자재 수입이 줄며 적자 폭은 전년(-735억 달러)보다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4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990억4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328억2000만 달러 흑자) 대비 흑자폭이 크게 확대됐다.
국가별로 보면 대미 경상수지는 1182억3000만달러 흑자로, 전년(877억6000만달러)보다 300억달러 이상 늘어 4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1988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1000억달러를 넘어선 기록이다.
이러한 흑자 확대는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자동차 등의 수출 호조와 미국 소비시장 강세, IRA·칩스법 등 미국의 산업지원 정책 영향에 따른 자본재 수출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상품수지 흑자는 1089억9000만 달러로, 본원소득수지도 배당 및 이자수익 증가로 184억 달러 흑자를 기록, 모두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
김성준 한은국제수지 팀장은 "미국의 견조한 소비에 자동차 등 소비재 수출이 늘었고, IRA·칩스법 등 신성장 투자에 기계류와 반도체 제조 장비 등 자본재도 많이 나갔다"며 "미국에 주식이나 채권 등 금융 투자에 따른 배당과 이자수익 등 본원수지도 추세적으로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향후 대미 경상수지의 경우 관세 정책 영향이 하반기에 더 크게 나타나 올해 흑자 규모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물론 통상 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굉장히 높아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대중 경상수지는 290억40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 지난 2022년 적자로 돌아선 뒤 연이어 흑자 반등에 실패했다. 적자 규모는 지난 2023년(-292억5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반도체 등 수출 증가와 화학공업제품 등 수입 감소로 상품수지 적자가 1년 새 331억3000만 달러에서 325억3000만 달러로 줄었다.
일본 경상수지는 127억2000만달러 적자로 전년(-157억7000만달러) 대비 적자 규모가 줄었다. 상품수지(-82억5000만달러)는 석유제품 수출 증가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반면 서비스수지는 적자폭을 키웠다. '엔저효과'로 해외여행 수요가 늘면서 여행수지 적자 폭이 커진 영향이다.
유럽연합(EU)향 경상수지는 170억9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58억5000만 달러 흑자)보다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선박과 컴퓨터 수출이 늘며 상품수지가 256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서비스수지와 본원소득수지는 각각 79억1000만 달러, 6억8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동남아시아에 대한 경상수지는 565억2000만 달러 흑자다. 반도체 수출 증가로 상품수지 흑자 폭이 확대됐다. 중동 지역은 690억 2000만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원자재 수입이 줄며 적자 폭은 전년(-735억 달러)보다 축소됐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