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산업생산 1.7% 증가...소매판매는 2.2% 감소
지난해 반도체 수출 회복의 영향으로 산업생산이 전년 대비 증가폭을 키웠지만,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소매판매는 2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이는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전년의 증가폭인 1.0%보다 확대된 수치다.
4분기 전산업생산은 0.4% 증가했으며,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0.1%보다 높은 수치다. 그러나 한국은행의 전망치인 0.5%보다는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광공업 생산이 4.1% 증가하면서 전체 산업생산의 호조세를 이끌었다. 하지만 광공업 출하는 최근 부진한 내수 상황을 반영하듯 수출에서 4.0% 늘었지만 내수는 2.0%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은 2023년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2.6%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4%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비스 생산은 작년 1.4% 증가해 코로나19 사태가 있던 2020년(-2.0%) 이후 4년 만에 최소 증가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은 2.2% 줄어들며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3.2%) 이후 21년 만에 최대 폭 감소를 기록했다.
소매판매액은 2022년 이후 3년 연속 줄어들며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장 감소를 기록했다. 소비재별로 보면 승용차 등 내구재는 3.1% 감소했고,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는 1.4% 줄어들었으며, 의복 등 준내구재는 3.7% 감소했다. 이러한 소비 부진은 내수 시장의 장기적인 침체를 반영하고 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에서 2.9%, 운송장비에서 7.8%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4.1%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 건설업 불황이 이어지면서 건설기성(불변)은 4.9% 감소했다. 이는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로, 건설수주(경상)는 토목에서 -1.9% 줄어들었지만 주택 등 건축에서 11.8% 증가하며 7.2% 증가했다.
지난해 12월에도 12·3 비상계엄 사태와 연말에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 등 영향으로 내수는 회복되지 못하는 모습이 이어졌다. 12월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은 전달보다 2.3% 증가했으며, 작년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다가 넉 달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광공업 생산은 4.6%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금융·보험(5.3%)과 도소매(2.8%) 등에서 증가세를 견인했지만, 숙박·음식점(-3.1%) 생산은 2022년 2월(-6.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소매판매는 비내구재(1.0%)에서 늘었지만, 내구재(-4.1%)와 준내구재(-0.6%)에서 줄어 0.6%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39.1%) 등에서 늘어 9.9% 증가했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건축(5.9%) 등에서 증가하며 전달보다 1.3% 늘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보합을 기록하며 97.6을 유지했다.
반면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100.6을 기록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 부분은 괜찮은데 지출이 따라가지 못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이는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전년의 증가폭인 1.0%보다 확대된 수치다.
4분기 전산업생산은 0.4% 증가했으며,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0.1%보다 높은 수치다. 그러나 한국은행의 전망치인 0.5%보다는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광공업 생산이 4.1% 증가하면서 전체 산업생산의 호조세를 이끌었다. 하지만 광공업 출하는 최근 부진한 내수 상황을 반영하듯 수출에서 4.0% 늘었지만 내수는 2.0%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은 2023년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2.6%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4%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비스 생산은 작년 1.4% 증가해 코로나19 사태가 있던 2020년(-2.0%) 이후 4년 만에 최소 증가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은 2.2% 줄어들며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3.2%) 이후 21년 만에 최대 폭 감소를 기록했다.
|
소매판매액은 2022년 이후 3년 연속 줄어들며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장 감소를 기록했다. 소비재별로 보면 승용차 등 내구재는 3.1% 감소했고,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는 1.4% 줄어들었으며, 의복 등 준내구재는 3.7% 감소했다. 이러한 소비 부진은 내수 시장의 장기적인 침체를 반영하고 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에서 2.9%, 운송장비에서 7.8%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4.1%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 건설업 불황이 이어지면서 건설기성(불변)은 4.9% 감소했다. 이는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로, 건설수주(경상)는 토목에서 -1.9% 줄어들었지만 주택 등 건축에서 11.8% 증가하며 7.2% 증가했다.
지난해 12월에도 12·3 비상계엄 사태와 연말에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 등 영향으로 내수는 회복되지 못하는 모습이 이어졌다. 12월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은 전달보다 2.3% 증가했으며, 작년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다가 넉 달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광공업 생산은 4.6%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금융·보험(5.3%)과 도소매(2.8%) 등에서 증가세를 견인했지만, 숙박·음식점(-3.1%) 생산은 2022년 2월(-6.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소매판매는 비내구재(1.0%)에서 늘었지만, 내구재(-4.1%)와 준내구재(-0.6%)에서 줄어 0.6%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39.1%) 등에서 늘어 9.9% 증가했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건축(5.9%) 등에서 증가하며 전달보다 1.3% 늘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보합을 기록하며 97.6을 유지했다.
반면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100.6을 기록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 부분은 괜찮은데 지출이 따라가지 못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