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대폭 낮췄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기존 전망(2.1%)보다 0.6%포인트 하향된 수치다.
OECD는 17일 발표한 ‘중간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이번 전망 조정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장벽 확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요 20개국(G20) 중 미국발 관세전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멕시코(-2.5%포인트)와 캐나다(-1.3%포인트)를 제외하면 한국의 성장률 하락 폭이 가장 크다.
이번 전망 조정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장벽 확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요 20개국(G20) 중 미국발 관세전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멕시코(-2.5%포인트)와 캐나다(-1.3%포인트)를 제외하면 한국의 성장률 하락 폭이 가장 크다.
한국은행과 정부의 기존 전망치(각각 1.5% 및 1.8%)와 비교하면 OECD의 수정 전망치는 한은과 동일하나, 국제통화기금(IMF·2.0%)이나 한국개발연구원(KDI·1.6%)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한편,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도 기존 3.3%에서 3.1%로 하향 조정됐다. OECD는 한국 경제가 성장세를 유지하겠지만 당초 예상보다는 둔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OECD는 매년 5~6월과 11~12월 두 차례 세계 경제 및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을 발표하며, 3월과 9월에는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기존 전망을 수정한다.
OECD는 17일 발표한 ‘중간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이번 전망 조정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장벽 확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요 20개국(G20) 중 미국발 관세전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멕시코(-2.5%포인트)와 캐나다(-1.3%포인트)를 제외하면 한국의 성장률 하락 폭이 가장 크다.
|
이번 전망 조정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장벽 확대,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요 20개국(G20) 중 미국발 관세전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멕시코(-2.5%포인트)와 캐나다(-1.3%포인트)를 제외하면 한국의 성장률 하락 폭이 가장 크다.
한국은행과 정부의 기존 전망치(각각 1.5% 및 1.8%)와 비교하면 OECD의 수정 전망치는 한은과 동일하나, 국제통화기금(IMF·2.0%)이나 한국개발연구원(KDI·1.6%)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한편,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도 기존 3.3%에서 3.1%로 하향 조정됐다. OECD는 한국 경제가 성장세를 유지하겠지만 당초 예상보다는 둔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OECD는 매년 5~6월과 11~12월 두 차례 세계 경제 및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을 발표하며, 3월과 9월에는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기존 전망을 수정한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