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저출산 등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2029년부터 국내 취업자 수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발표한 한국고용정보원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33년까지 경제활동인구는 24만8000명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증가폭은 과거 10년과 비교해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2028년 2881만3000명을 기록한 후 2029년부터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는 2030년부터 본격화되며 2033년까지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30%를 넘어서면서 노동 공급의 제약이 심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고용정보원은 장기 경제성장률 1.9%를 유지하기 위해 2033년까지 82만1000명의 추가 노동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1.9% 성장 목표에 필요한 인력 2954만9000명과 예상 공급 가능 인력 2872만8000명 간의 차이에서 도출된 수치다.
산업별로 보면, 고령화 및 돌봄 수요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 및 보건업에서 취업자가 약 100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등 출판업에서도 증가세가 전망된다. 반면, 온라인화·자동화로 인해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 등 일부 산업에서는 취업자 감소가 예상된다.
직업별로는 돌봄·보건 및 개인서비스직, 보건·사회복지직, 공학전문가, 정보통신전문가 등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온라인화로 인해 매장판매직이 감소하고, 자동화로 인해 장치·기계 조작직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 전문가의 수요도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정보원은 향후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 전환과 노동시장 구조 변화가 가속화되는 만큼 업종·직종별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기술 변화에 적절히 대응해 생산성을 높이고 부족한 노동력을 보완하는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기업 차원에서 자동화·디지털 전환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창수 한국고용정보원장은 “향후 인력 부족 등이 초래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용노동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단기(1년) 전망을 신설하는 등 중장기 인력수급 예측을 더욱 정밀하게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7일 발표한 한국고용정보원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33년까지 경제활동인구는 24만8000명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증가폭은 과거 10년과 비교해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2028년 2881만3000명을 기록한 후 2029년부터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는 2030년부터 본격화되며 2033년까지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30%를 넘어서면서 노동 공급의 제약이 심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고용정보원은 장기 경제성장률 1.9%를 유지하기 위해 2033년까지 82만1000명의 추가 노동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1.9% 성장 목표에 필요한 인력 2954만9000명과 예상 공급 가능 인력 2872만8000명 간의 차이에서 도출된 수치다.
|
산업별로 보면, 고령화 및 돌봄 수요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 및 보건업에서 취업자가 약 100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등 출판업에서도 증가세가 전망된다. 반면, 온라인화·자동화로 인해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 등 일부 산업에서는 취업자 감소가 예상된다.
직업별로는 돌봄·보건 및 개인서비스직, 보건·사회복지직, 공학전문가, 정보통신전문가 등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온라인화로 인해 매장판매직이 감소하고, 자동화로 인해 장치·기계 조작직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 전문가의 수요도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정보원은 향후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 전환과 노동시장 구조 변화가 가속화되는 만큼 업종·직종별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기술 변화에 적절히 대응해 생산성을 높이고 부족한 노동력을 보완하는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기업 차원에서 자동화·디지털 전환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창수 한국고용정보원장은 “향후 인력 부족 등이 초래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용노동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단기(1년) 전망을 신설하는 등 중장기 인력수급 예측을 더욱 정밀하게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