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올해 1분기 -0.246%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하며, 주요 19개국 중 최하위를 차지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 분기 대비)은 -0.246%로, 지금까지 1분기 성장률을 발표한 19개 나라 가운데 가장 낮았다. 한국의 세계 하위권 성장 성적표는 1년째 이어지고 있다.
19개국 중 18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이고, 비(非)OECD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중국이 포함됐다.
1분기 성장률 1위는 아일랜드(3.219%)였고, 중국(1.2%)·인도네시아(1.124%)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와 경제 규모(GDP)가 비슷한 스페인도 0.568%의 성장률로 4위에 올랐다.
경제 덩치가 한국보다 큰 캐나다 (0.4%), 이탈리아(0.26%), 독일(0.211%), 프랑스(0.127%) 모두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세계 1위 경제 대국이자 자국 관세 정책 혼란에 가장 직접적 타격을 입은 미국의 역성장(-0.069%) 정도도 한국과 비교하면 미미했다.
주요국 가운데 일본과 영국이 아직 공식 1분기 성장률을 공개하지 않았는데, 이들의 성적도 우리나라보다 나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블룸버그가 최근 조사한 주요 기관의 국가별 성장률 전망치 컨센서스(평균)를 보면, 1분기 일본과 영국의 성장률은 각 -0.1%, 0.6%로 추정된다.
한국의 성장률 부진은 4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는 흐름이다. 지난해 1분기에는 1.3%의 성장률로 37개국 중 6위를 기록하며 선전했으나, 이후 2분기부터 -0.228%로 전환하며 32위로 급락했다. 3분기(0.1%)와 4분기(0.066%)에도 반등하지 못하며 각각 26위, 29위에 그쳤다.
이처럼 지속적인 성장 부진의 주요 배경으로는 내수 침체가 지목된다.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반도체 하락 사이클이나 미국 관세정책 등 수출 불안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 현재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소비와 건설 등 내수가 너무 부진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말 탄핵 정국과 12월 계엄사태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은 여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다. 여기에 하반기 미국발 관세 충격이 본격화될 경우, 국내외 기관들은 올해 한국의 연간 성장률이 1%도 넘기기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응해 확장적 재정정책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12조원 규모의 추경이 집행될 경우, 올해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여야 합의를 통해 추경 규모는 13조8000억원으로 확대됐으나, 성장률 개선 효과에는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 분기 대비)은 -0.246%로, 지금까지 1분기 성장률을 발표한 19개 나라 가운데 가장 낮았다. 한국의 세계 하위권 성장 성적표는 1년째 이어지고 있다.
19개국 중 18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이고, 비(非)OECD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중국이 포함됐다.
1분기 성장률 1위는 아일랜드(3.219%)였고, 중국(1.2%)·인도네시아(1.124%)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와 경제 규모(GDP)가 비슷한 스페인도 0.568%의 성장률로 4위에 올랐다.
|
경제 덩치가 한국보다 큰 캐나다 (0.4%), 이탈리아(0.26%), 독일(0.211%), 프랑스(0.127%) 모두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세계 1위 경제 대국이자 자국 관세 정책 혼란에 가장 직접적 타격을 입은 미국의 역성장(-0.069%) 정도도 한국과 비교하면 미미했다.
주요국 가운데 일본과 영국이 아직 공식 1분기 성장률을 공개하지 않았는데, 이들의 성적도 우리나라보다 나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블룸버그가 최근 조사한 주요 기관의 국가별 성장률 전망치 컨센서스(평균)를 보면, 1분기 일본과 영국의 성장률은 각 -0.1%, 0.6%로 추정된다.
한국의 성장률 부진은 4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는 흐름이다. 지난해 1분기에는 1.3%의 성장률로 37개국 중 6위를 기록하며 선전했으나, 이후 2분기부터 -0.228%로 전환하며 32위로 급락했다. 3분기(0.1%)와 4분기(0.066%)에도 반등하지 못하며 각각 26위, 29위에 그쳤다.
이처럼 지속적인 성장 부진의 주요 배경으로는 내수 침체가 지목된다.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반도체 하락 사이클이나 미국 관세정책 등 수출 불안 요인도 있지만, 무엇보다 현재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소비와 건설 등 내수가 너무 부진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말 탄핵 정국과 12월 계엄사태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은 여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다. 여기에 하반기 미국발 관세 충격이 본격화될 경우, 국내외 기관들은 올해 한국의 연간 성장률이 1%도 넘기기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응해 확장적 재정정책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12조원 규모의 추경이 집행될 경우, 올해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여야 합의를 통해 추경 규모는 13조8000억원으로 확대됐으나, 성장률 개선 효과에는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