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593.1억 달러, 수입 508.2억 달러…전년比 2.2%↑ 2.3%↑
상품수지 84.9억 달러 흑자...전월 대비 흑자폭 3억달러↑
서비스 22.1억 달러 적자…여행수지 -7.2억 달러
3월 경상수지가 91억4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며, 23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반도체와 컴퓨터 등 IT 품목의 수출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3월 경상수지 흑자는 전월(71억8000만 달러)보다 20억 달러, 전년 동월(69억9000만 달러)보다는 22억 달러 증가했다. 이로써 올해 1분기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192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164억8000만 달러)보다 27억8000만 달러 확대됐다.
경상수지의 중심축인 상품수지는 84억9000만 달러 흑자로, 전월(81억8000만 달러)과 전년 동월(83억9000만 달러)보다 소폭 늘었다. 수출은 1년 전보다 2.2% 증가한 593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2월에 마이너스 성장(-2.5%)을 보인 뒤, 3월 들어 11.6% 증가로 반등했다. 컴퓨터 주변기기(31.7%)와 의약품(17.6%)도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석유제품(-28.2%), 철강제품(-4.9%), 가전제품(-22.9%) 등의 수출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1.0%), EU(9.8%)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 수출은 4.2% 감소했다.
수입은 전년 대비 2.3% 증가한 508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류 수입이 석탄(-34.6%), 석유제품(-15.1%), 원유(-9.0%) 등으로 7.5% 줄어든 반면, 반도체 제조 장비(85.1%)를 중심으로 자본재 수입은 14.1% 증가했다. 승용차(8.8%)와 비내구 소비재(3.8%) 등 소비재 수입도 7.1%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2억1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으나, 전월(-32억1000만 달러) 및 전년 동월(-27억4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은 줄었다. 이는 여행수지 개선이 주요 원인으로, 3월 여행수지는 7억2000만 달러 적자로, 전달(14억5000만 달러)보다 절반가량 줄었다. 반면, 운송수지 흑자 규모는 소폭 축소됐고, 지식재산권 사용료에 따른 적자는 다소 확대됐다.
배당과 이자 등의 흐름을 반영하는 본원소득수지는 32억3000만 달러 흑자로, 전월(26억2000만 달러) 대비 증가했다. 이자소득은 다소 줄었으나, 직접투자 배당소득이 한 달 만에 9억 달러 이상 늘어난 것이 주된 요인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은 78억2000만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가 47억5000만 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도 7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 주식투자가 121억3000만 달러 늘었으며,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도 45억 달러 증가했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3월 경상수지 흑자는 전월(71억8000만 달러)보다 20억 달러, 전년 동월(69억9000만 달러)보다는 22억 달러 증가했다. 이로써 올해 1분기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192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164억8000만 달러)보다 27억8000만 달러 확대됐다.
경상수지의 중심축인 상품수지는 84억9000만 달러 흑자로, 전월(81억8000만 달러)과 전년 동월(83억9000만 달러)보다 소폭 늘었다. 수출은 1년 전보다 2.2% 증가한 593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2월에 마이너스 성장(-2.5%)을 보인 뒤, 3월 들어 11.6% 증가로 반등했다. 컴퓨터 주변기기(31.7%)와 의약품(17.6%)도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
다만, 석유제품(-28.2%), 철강제품(-4.9%), 가전제품(-22.9%) 등의 수출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11.0%), EU(9.8%)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 수출은 4.2% 감소했다.
수입은 전년 대비 2.3% 증가한 508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류 수입이 석탄(-34.6%), 석유제품(-15.1%), 원유(-9.0%) 등으로 7.5% 줄어든 반면, 반도체 제조 장비(85.1%)를 중심으로 자본재 수입은 14.1% 증가했다. 승용차(8.8%)와 비내구 소비재(3.8%) 등 소비재 수입도 7.1%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2억1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으나, 전월(-32억1000만 달러) 및 전년 동월(-27억4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은 줄었다. 이는 여행수지 개선이 주요 원인으로, 3월 여행수지는 7억2000만 달러 적자로, 전달(14억5000만 달러)보다 절반가량 줄었다. 반면, 운송수지 흑자 규모는 소폭 축소됐고, 지식재산권 사용료에 따른 적자는 다소 확대됐다.
배당과 이자 등의 흐름을 반영하는 본원소득수지는 32억3000만 달러 흑자로, 전월(26억2000만 달러) 대비 증가했다. 이자소득은 다소 줄었으나, 직접투자 배당소득이 한 달 만에 9억 달러 이상 늘어난 것이 주된 요인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은 78억2000만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가 47억5000만 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도 7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 주식투자가 121억3000만 달러 늘었으며,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도 45억 달러 증가했다.
정영훈 기자 banquest@hanmail.net
<저작권자 경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